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우리나라는 W.A. 가입추진과 함께 1999년 공학교육의 질적 향상과 실용적 인재의 양성을 위해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를 설립하였다.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1999년 8월 30일 한국공학한림원, 한국공학기술학회,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전국공과대학장협의회, 산업체, 공학관련 전문학회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창립되었다.



ABEEK은 순수 민간기구(사단법인)로서 대학의 공학 및 관련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인증 및 자문을 시행함으로써 공학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고,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증사업단, 대외협력위원회, 교육정보위원회, 정책개발위원회, 홍보편집위원회, 사무처 및 이사회로 구성되어 공학교육의 세계화, 선진화를 추구하고 있다.



2001년 2개 대학 11개 프로그램의 인증평가를 시작으로 2004년까지 15개 대학의 90개 프로그램의 인증평가가 진행 중에 있다. 공학교육 인증제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기존 교과 과정은 자율적 개선과정이 미흡하여 국제기준과 산업체,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합되는 인재 양성에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현장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국제적 수준의 인재를 양성하는 형태의 공학교육모델, 순환적 자율개선형 공학교육모델을 탄생시켰다.
ABEEK인증의 특징
- 첫째 ABEEK 인증은 공학 교육을 대상으로 하고, 공학프로그램 단위, 즉 전공분야별로 인증한다.
- 둘째 ABEEK 인증에서는 외형적인 교육 지표보다는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충실도를 진단한다.
- 셋째 ABEEK 인증은 교육프로그램별로 인증 여부를 결정할 뿐, 등급이나 서열을 매기지 않는다.
- 넷째 ABEEK 인증은 자발적인 참여를 기조로 한다.
- 다섯째 ABEEK 인증은 공학현장이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을 반영한다.
- 여섯째 ABEEK 인증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최소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절대평가이다.
외국의 공학교육인증기관
- 선진국에서는 공학교육의 혁신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과정과 교육환경 의 개혁 및 내실화를 추진하고 있다.
- 미국 : ABET은 29개 미국 공학계 전문단체의 연합체로서, 미국 공과대학의 95%가 ABET 인증에 참여
- 일본 : 경우 일본 기술자 교육인정제도 (JABEE)를 시행
- 공학교육의 국제 상호인증에 관한 국제협정 (Washington Accord)을 통해 미국공학교육인증원 (Th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ABET)의인증제도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고 있는 추세
- ABEEK이 Washington accord에 가입에 되면 우리나라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대학의 ABEEK 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은 국가에 관계없이 1급 엔지니어로 인정을 받게 됨
워싱턴협약이란?
- 워싱톤 협정에서의 중요한 요점인 ABET 국제 활동의 기본적인 목적은 인증 체계에 관한 실질적인 평가기준방법 또 다른 하나로서 인식을 만드는 것 입니다. ABET은 각각의 문화와의 조화로운 승인심사확립의 마련을 ABET의 최상의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다소 늦었지만 현재 일본을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어떤 국가에서든 보조자를 찾는 경우에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모든 계획이 잡혀 있습니다.
- 공학교육의 국제 상호 인정에 관한 국제 협정
- 민간대표 기구간의 국제협약
-
가입국 (8+4)
- - 1989년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아일랜드
- - 1995년 : 홍콩
- - 1997년 : 남아공
- - 2001년 : 일본(provisional member)
- - 2003년 : 독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provisional member)
- - 현재 가입을 추진 중인 국가 : 한국,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대만, 멕시코, 러시아, 터키, 스위스, 포르투칼, 인도(준회원 가입 세번 탈락)
- 기 회원국도 매 6년마다 회원국들 간의 review 및 모니터링을 통한 정기 평가 : 금년 호주가 재평가에 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