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

  • 교육목표/학습성과
  • 교과과정/공학인증요건
  • 시설및재원
  • 프로그램구성원
  • 운영및평가

학과소개

18세기 중반 산업혁명 이후 오늘날 지구촌은 급격한 인구증가, 경제성장, 도시화 등으로 인한 환경파괴, 에너지낭비 및 자원고갈로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가뭄, 홍수, 사막화 등 새로운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으로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범지구적인 환경 및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수집, 해석, 현상 분석 및 그 활용에 대한 필요성도 더욱 증대되고 있다.「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는 환경문제 해결, 새로운 에너지 창출, 기후변화 문제 해결, 지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학과에서는 수자원, 대기, 토양 등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자연환경에 대한 지속가능한 관리,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방안,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폐기물 등 환경오염 처리와 방지에 필요한 공학적인 방법, 신재생 에너지 전환기술, 영상정보, 디지털 매핑기술, GNSS 및 측지학, GIS와 같은 공간정보 처리기술 등 범지구적인 환경과 공간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 제어 할 수 있는 전문 지식 배양과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배출함으로써 졸업 후 국가기관, 공기업, 연구기관 및 일반기업 등에 진출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목표

① 전문지식과 창의적 활용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② 효율적인 의사전달 능력과 협동심, 리더쉽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③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과 비전을 갖춘 전문 인력의 양성

학습성과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의 학습성과는 공학인증에서 요구하는 학습성과로 구성됩니다.

(1)지식응용 :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2)분석실험 :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3)문제해결 : 공학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4)도구활용 : 공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적절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설계능력 :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6)협동능력 :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7)의사전달 :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8)영향이해 : 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9)공학윤리 :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10)평생학습 :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